티스토리 뷰
어차피 1부터 9까지 안에서 움직이고 그 이상 나갈일이 없으니 그냥 10이 넘은 경우에는 flip을 하고 그냥 보내는건 float 하나로 해야 겠다. 괜히 true false까지 다 전송하고 그걸 파싱하면 코드만 복잡해진다. 10을 나누고 나머지 값으로만 이동하게 한다. 온 값이 10을 넘으면 flip을 하고 1부터 9까지 사이면 이동하지 못하게 막자.
const setRange = 7;
const initX = 2 + Math.floor(Math.random() * setRange);
카메라도 한쪽 끝이 0부터 시작하게 한다.
테스트를 해보니 10이 아니라 100을 더하는 식으로 넘겨 주고 수가 100미만이면 플립이 false 100 이상이면 true로 하고 값이 오면 100으로 나눈 몫을 값으로 정해야 할듯 싶다. 이게 100으로 나누면 어차피 나머지는 두자리 수가 된다.
원래 코딩할때 이런 꼼수 같은 발상은 자주 하는 편이다.
'학습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서 안되서 (3) | 2024.08.28 |
---|---|
전회사가 잘되는 꿈을 꾸다니 (0) | 2024.08.27 |
쓰래드 문제 (0) | 2024.08.26 |
영상으로 만들어야지 (0) | 2024.08.25 |
게임 서버 개발의 경우 (0) | 2024.08.25 |